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발언대] 올 것이 오고 있다

그저 한 번 스쳐 지나가는 현상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코로나19 걱정에서 조금 벗어나는가 했는데 이제는 짐작만 했던 ‘불편한 진실’이 보라는 듯이 확실하게 얼굴을 드러내고 있다.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다.   올 것이 오고 있다. 우리는 몇 주 전, 바람까지 동반한 뜨겁고 습한 남가주 최악의 여름을 경험했다. 에어컨이 없는 밖으로 나갈 때면 달려드는 불덩어리를 피할 수 없었다. 이런 이상 기온이 한 차례 변덕이나 일탈이기를 바라지만 올 것이 온 모양이다. 남가주의 여름 폭염이 지나가자 플로리다를 강타한 허리케인 소식이다. 영상을 보니 전쟁 후 폐허를 보는 것 같다. 연례행사쯤으로 여겼던 플로리다의 허리케인이 아니다. 역대 급 초강력 허리케인 ‘이안’이 할퀴고 간 상처가 내 일처럼 다가온다.      다큐멘터리 영화 ‘불편한 진실’을 또렷이 기억한다. 2006년이었다. 환경오염, 지구온난화를 막지 못하면 홍수, 가뭄, 전염병이 찾아오게 된다고 예측했다. 이산화탄소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기후 변화가 급격히 올 수 있다고 했다. 이후 노벨위원회는 ‘1980년대에 지구온난화 문제는 흥미로운 가설로 보았으나 최근 인류평화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분명해지고 있다’며 지구온난화 문제를 평화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2007년, 이 영화에 출연하고 감독한 앨 고어는 유엔기구 기후변화위원회와 노벨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      이 영화를 통해 지구온난화를 확실히 이해하게 되었다. 허나 그동안 서서히 변화하는 기후에 익숙해지며 ‘불편한 진실’을 의도적으로 외면하려 했다.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기사들 중 상당수가 ‘정말 심각한 문제인지 불확실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불편한 진실을 믿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이런 사회적 현상이 현실을 가감 없이 대변하고 있다.      2000년 대선에서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을 약속했던 앨 고어가 대통령이 되었다면 상황이 개선되지 않았을까. 석유산업으로 부자가 된 기업가는 온난화 현상을 받아들이지 않고 계속 논쟁의 여지를 남겨왔다. 대신 그들은 인류가 살아가야 하는 지구 환경에 별로 관심이 없는 정치 후보에게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 왔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인간 생존을 위한 실존적 위협을 무시하는 행위는 죄악이다. 이제 온난화에 대한 대응은 정치적 경제적 문제를 넘어 도덕적이라는 앨 고어의 주장을 이해하겠다.    벌써 너무 늦은 것은 아닐까. 아니면 조금 시간적 여유가 있는 것일까. 지구촌 모든 사람이 하루에 플라스틱 봉지 한 개를 덜 쓴다면, 종이컵 대신 머그잔을 사용한다면, 곧 폭발할 것 같은 지구의 가쁜 숨소리가 조금 가라앉지 않을까. 눈앞에 다가오고 있는 현실을 바로 보아야 한다. 구태의연하게 계속해온 생활 방식을 바꿔야 할 때다. 더는 늦춰서는 안 된다. 나부터 먼저 실천에 옮겨야겠다.     오는 11월 8일 중간선거가 있을 예정이다. 출마자들의 정치적 이념이나 그들의 경력을 더욱 신중하게 살피려 한다. 환경오염, 지구온난화 문제에 관심을 갖는 지도자에게 한 표를 줄 예정이다. 이 문제는 강 건너 불이 아니라 발등의 불이 되고 있다. 이정숙 / 수필가발언대 지구온난화 문제 환경오염 지구온난화 유엔기구 기후변화위원회

2022-10-11

[칼럼 20/20] 지구의 날과 다행성 종족

세계 최고 부자는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다. 경제매체 포브스가 5일 발표한 억만장자 명단에서 순자산 2190억 달러로 1위에 올랐다. 지난달 진보 성향의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부자들의 탐욕을 지적하자 머스크는 돈을 모으는 이유를 트위터로 밝혔다. ‘인류를 다행성 종족으로 만들기 위해’ 돈을 번다는 것이다.     ‘다행성 종족(Multi-Planetary Species)’은 여러 행성에 거주하는 생명체를 뜻한다. 인간에 한정하면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도 살 수 있는 종족이 되는 것이다. 머스크는 ‘다행성 인류’를 실현하기 위해 2026년에 인간을 화성에 보내고 궁극적으로 화성 이주를 실현하겠다고 한다.     지구를 떠나는 이야기는 SF소설에 자주 등장한다. 2006년 발표된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작품 ‘파피용’이 대표적이다. 14만4000명의 지구인이 태양빛을 동력으로 하는 거대 우주선 ‘파피용’을 타고 이주할 행성을 찾아 나서는 이야기다. 공상소설이기는 하지만 미래 세계보다는 인간 본성의 문제가 주제다.   지구 탈출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꿈 같은 이야기였다. 주로 소설이나 영화의 소재로 등장했다. 인간의 무관심과 무지로 황폐해진 지구를 떠나 새 행성을 찾아 이주한다는 것이 전형적인 줄거리다.     오늘(4월 22일)은 ‘지구의 날(Earth Day)’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위한 날이다.  1969년 샌타바버러 기름 유출 사고가 계기가 됐다. 1970년 위스콘신주 상원의원 게이로드 넬슨과 젊은 사회운동가 데니스 헤이즈가 지구 보존 선언문을 발표하면서 출발했다. 당시 미 전국에서 2000만 명이 산업화 이후 150여년간 방치했던 지구를 살리자는 운동에 동참했다. 올해로 반세기를 넘은 ‘지구의 날’은 현재 193개국이 기념하고, 연인원 10억 명이 지구 살리기에 동참하고 있다.     초창기 지구 살리기는 자연훼손과 대기오염 방지가 목표였지만 2000년대 들어 지구온난화 문제와 청정에너지 개발이 주요 관심사가 됐다. 지구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는 평균기온 상승이다.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으면 2030년 지구 평균온도는 섭씨 1.5~2도 올라갈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지구의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보다 1.2도 높다. 과학자들은 2도 상승을 마지노선으로 정했지만 이를 낮추자는 의견이 많다. 1.5도만 올라도 지구 곳곳이 물에 잠기면서 5억 인구의 생활에 피해를 줄 수가 있다.     장기적인 기후변화는 감지하기 어렵다. 서서히 다가오는 지구온난화는 인류가 직면한  재앙이다. 해결을 위한 노력도 지구촌 전체의 공조로 이뤄져야 한다.     다른 행성 이주는 두 가지가 충족돼야 가능하다. 지구가 더 이상 살 수 없는 곳이라는 전제에, 행성간 이동·이주를 가능하게 할 기술개발이 합쳐졌을 때다. 지금으로서는 둘 다 현실적이지 못하다. 아직도 지구는 살 만한 곳이고, 이동 기술은 초보 단계를 겨우 넘었다.     언제가 될 지는 모르지만 당분간(?) 인류가 발 딛고 살아야 할 곳은 지구다. 더 정확히 말해 인간이 ‘유일’하게 살 수 있는 곳은 지구뿐이다. 보전해야 할 곳도 역시 지구뿐이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시리즈 ‘우리의 위대한 국립공원들(Our Great National Parks)’에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내레이터로 나온다. 재임기간 기후변화 문제에 높은 관심을 보였던 오바마는 시리즈 마지막 편에서 자연보호 동참을 촉구하며 이렇게 말을 맺는다.     “더 이상 허비할 시간이 없습니다. 우리의 자녀들에게 남겨 줄 자연은 매우 중요합니다. 지금이 바로 행동할 때입니다.” 김완신 / 논설실장칼럼 20/20 다행성 지구 지구온난화 문제 다행성 종족 다행성 인류

2022-04-2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